디자인 스프린트(Design Sprint)란?
다섯 단계로 구성된 시간제한적인 디자인 프로세스로 보통 5일(하루 8시간) 동안 진행된다.
디자인 스프린트의 목표
아이디어를 디자인하고, 프로토타이핑과 사용자 테스트를 통해 중요한 디자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
언제 디자인 스프린트를 고려해야 할까?
다음 사례 중 한 가지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 디자인 스프린트를 진행을 고려해 볼 수 있다:
1. 테스트할 잠재적인 디자인 해결책이 너무 많을 때
2. 문제를 해결하는데 여러 부서의 인원이 협업을 진행하는 경우
3. 해결할 디자인 문제의 범위가 스프린트를 진행할 만큼 넓을 때
디자인 스프린트의 장점
1. 사용자 최우선 고려
디자인 스프린트에 참가하는 모든 구성원들은 항상 디자인 과제가 사용자와 그들의 니즈에 중점을 두고 있는 확인하는 프로세스를 거친다. 결국 제품의 성공여부는 사용자가 결정하기 때문에 이 부분이 굉장히 중요하다.
2. 참여하는 모든 구성원들에게 동등한 가치 부여
인터부터 최고 의사결정권자까지 다양한 분야와 경험을 가진 사람들이 참가하는 것은 디자인 스프린트의 장점 중 하나로, 이를 바탕으로 문제와 해결책의 모든 측면을 고려한 최고의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
3. 집중할 시간 확보
제한된 시간 동안 핵심 팀 구성원들이 디자인 과제에 전념할 시간을 제공한다.
4. 리스크 줄이기
제품 출시 전에 실제 사용자로부터 피드백을 받고 기능을 수정할 수 있기 때문에 출시 후 제품의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다.
5. 유동적
디자인 스프린트는 프로젝트 진행 중 언제든지 일정을 편성할 수 있는 유동적인 프로세스로 문제가 발생하면 언제든지 빠르게 진행하여 해결방법을 찾을 수 있다.
디자인 스프린트의 5단계
1일 차 - 이해(Understand) - 스프린트의 방향 및 디자인 과제를 명확하게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다른 부서 및 업계의 다양한 사람들과 창의적인 토론을 진행하며, 디자인 과제를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전문가들로부터 필요한 지식을 학습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진다.
2일 차 - 아이디어 도출(Ideate) - 다양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솔루션을 도출하는 단계
이 단계에서 팀은 아이디어를 생산하고 이를 기반으로 솔루션을 만들어낸다. 각각의 참가자는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디자인을 스케치 및 제시한다. 또한, 추후 5단계에서 진행할 사용자 테스트를 위한 사전 계획을 시작한다. 사용자 테스트는 다양한 그룹의 사용자에게 제품을 테스트하고 피드백을 제공받는데 목적이 있으므로, 스프린트 기간 내 해당 프로필에 맞는 사용자를 모집하고 테스트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3일 차 - 결정(Decide) - 구축할 최종 솔루션 선택
잠재적인 해결책을 논의하고 이 중에서 사용자를 흥미롭게 만들 가능성이 가장 큰 디자인 솔루션을 선택한다. 프로토타입에 대한 단계별 설계도(blueprint)를 제작하는 것도 이 단계에 포함된다.
4일 차 - 프로토타입 제작(Prototyping) - 첫 번째 프로토타입 제작
3일 차의 설계도를 바탕으로 사용자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는 만큼의 최소한의 스펙을 갖춘 프로토타입을 제작한다. 또한, 사용자 테스트 인터뷰 질문 작성을 마무리하고 진행 일정을 최종 확인한다.
5일 차 - 테스트(Test) - 프로토타입 테스트 진행
사용자가 프로토타입을 테스트하는 과정과 반응을 관찰한 뒤 사용자 경험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한다. 사용자 피드백을 기반으로 제품을 출시하기 전에 앞서 수정을 진행한다.
디자인 스프린트 브리프 작성
스프린트에 참석하는 구성원들이 스프린트를 준비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문서(브리프)를 작성한다. 디자인 스프린트 브리프에는 아래와 같은 항목을 작성한다:
1. 스프린트 도전과제
디자인 스프린트 도전 과제와 목표를 팀에게 설명한다.
2. 주요 성과물
스프린트 종료 시점에 팀이 실제로 제작해야 하는 주요 성과물을 적는다. 예를 들어 앱이라면, 기능 업데이트가 포한된 완전한 프로토타입 제작이 여기에 해당될 수 있다.
3. 로지스틱스
스프린트가 언제 어디에서 진행되는지 명시하고, 참석할 구성원과 리더의 명단을 작성한다.
4. 승인자
제품을 출시하기 전 고위ㄱ 관리자의 승인이 필요한 경우 해당 내용을 기록한다. 예를 들어, CEO의 공식 승인이 필요하면 스프린트 브리프에 미리 언급을 해놔야 한다.
5. 자원
단기 스프린트의 경우 이미 이 프로젝트를 위해 할당된 팀이 존재한다. 다만, 장기 스프린트의 경우 추가 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계획이 미리 수립해야 한다.
6. 프로젝트 개요
스프린트를 진행할 프로젝트의 현 상황과 맞닥뜨린 문제점을 설명한다. 초기 성공사례가 있다면 언급하고 예상 출시 계획을 간략하게 요약한다.
7. 일정
5일 동안 진행할 스프린트의 시간대별 일정과 휴식시간을 모두 포함하여 정리하여, 참가자들이 일정에 맞춰 원활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디자인 스프린트 계획하기
디자인 스프린트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진행 단계:
- 사용자 리서치: 스프린트에서 해결하려는 사용자 문제에 중점을 두고 적절한 리서치 방법을 선택한다.
- 전문가 참여: 도전 과제를 명확히 하는데 도움이 되는 동료나 업계 전문가와의 짧은 회담을 스프린트 일정에 맞춰 진행한다.
- 적절한 공간 찾기: 스프린트를 진행하기 위한 적절한 공간을 예약하는 것이 중요하다. 화이트보드, 음향, 편의 시설, 쉽게 옮길 수 있는 편안한 가구 등을 고려한다.
- 필수용품 준비: 참가자에게 필요한 용품을 준비한다. 마커, 포스트잇, 노트, 간식 등등
- 스프린트 규칙 설정: 작업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스프린트가 진행되는 내내 구성원들이 지켜야 할 규칙을 설정한다.
- 아이스브레이킹: 여러 부서와 구성원이 처음 한자리에 모여 프로젝트를 함께 진행하기 때문에 아이스브레이킹을 통해 초반에 편안한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주용 하다. 스프린트와 관련된 주제로 아이스브레이킹을 기획해 보면 도움이 된다.
- 스프린트 종료 후 계획수립: 스프린트가 진행되는 동안 학습한 것을 다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고민해 본다. 스프린트 문서화를 진행할 담당자를 설정하여 스프린트가 진행되는 동안 사진을 촬영하고 사용한 포스트잇을 수집하고 아이디어를 기록하도록 한다.
'디자인 자격증 > Google UX Design Certifica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UX디자인에서의 공감(empathy) 이해하기 (0) | 2023.11.30 |
---|---|
첫 번째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선택 - 잭슨피자(JACKSON BLVD) (1) | 2023.11.29 |
UX 리서치의 편향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3.11.28 |
UX 리서치에 대해서 배워보자 (1) | 2023.11.27 |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 101 (2) | 2023.11.03 |